공정보도 앞장선 언론인 이관구
매체명 : 서울신문   게재일 : 2009-04-03   조회수 : 5312
공정보도 앞장선 언론인 이관구
【 현대커뮤니케이션 사상사 】 조맹기 지음 나남 펴냄

‘서울신문은 좌·우익 신문들이 난무하는 해방공간에서 불편부당을 유지한 거의 유일한 권위지였다. 그것은 당시 초대 편집국장 겸 주필이었던 성재(誠齋) 이관구(李寬求·1898∼1991년)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관구는 해방 전에는 사회주의 성향의 글을 많이 썼으나, 해방 후 서울신문 편집국장이 된 뒤엔 자유주의 언론관을 피력하며 당파성을 배격했다. 사회의 목탁, 공론의 면경(面鏡을 비춰보는 거울), 공평무사 등 객관 보도를 잣대로 해방정국을 풍미했다.

이는 ‘현대커뮤니케이션 사상사’(조맹기 지음, 나남 펴냄)에서 저자 조맹기 교수가 연구한 한국 언론인 이관구에 대한 평가다. 조 교수는 이관구가 해방공간의 이데올로기 싸움의 최전선에서 거의 유일하게 공정한 관점을 유지한 언론인이었고, 신문편집인협회 초대회장(1957년)도 역임했지만 지금까지 거의 조명을 받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이관구의 논조에 대해 매일신문에서 서울신문으로 제호를 바꾼 첫날인 1945년 11월23일자 ‘혁신에 즈음하여’라는 사설에서 논조는 “일당일파에 기울어지지 않는 공정하고 또 적확한 보도”라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서울신문은 당파들의 대변지가 아니라 ‘민족총력의 집결통일과 독립완성’을 바탕으로 ‘민주주의적 질서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신문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저자는 이같은 논조를 강조한 이관구를 앞으로 언론학에서 더 관심을 갖고 연구를 해야 할 나라의 스승 같은 ‘국사(國師) 언론인’으로 치켜세웠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이관구 이외에도 로크, 이니스, 맥루한, 하버마스, 롤스, 라자스펠드, 아도르노, 라스웰, 그람시 등 세계적인 사상가와 언론인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의 정체성을 추적했다. 저자는 커뮤니케이션이 공화정의 기초임을 거듭 확인한다. 아울러 공화정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공론의 장, 즉 커뮤니케이션이 더 활성화되어야 하고, 공론의 장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공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만 2000원.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이전글 나에게 책이란 말이야…
다음글 인정욕구에 눈감는 정의는 폭력을 낳을 뿐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