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맹자와 행정학

이문영(경기대) 지음

판매가(적립금) 25,000 (1,250원)
분류 나남신서 440
판형 신국판
면수 828
발행일 2003-06-25
ISBN 89-300-3440-3
수량
총 도서 금액     25,000
동양의 대표적 고전인〈논어〉와〈맹자〉를 현대 행정학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형 행정학의 모델과 바람직한 정부형태를 모색하고 있다. 지은이는 우선〈논어〉와〈맹자〉가 우리 겨레가 처음 대한 행정학교과서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지은이는 유신 이후 5共까지 반독재 투쟁으로 세 차례 구속됐는데 5년 여에 걸친 수감생활중 접한 한문과 철학공부가 고전연구의 큰 밑거름이 됐다. 정부형태는 국민에 대한 관권행사의 정도에 따라서〈독재정부〉,〈강한 정부〉,〈약한 정부〉로 구분하고 있다.
이상적인 정부형태는 '너무'라는 수식어가 제거된〈강한 정부〉라고 주장한다. 孔子 와 孟子를 중심으로 한 강한 정부론은 정부가 국민을 통치할 만한 권력을 가져야 하지만 공직자는 모름지기 선공후사(先公後私)의 자세를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논어〉에 나오는 공야장(公冶長)의 27가지 행동유형을 현재의 공직자상에 대입시켜 공직자는〈인격과 실천〉을 겸비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 재무 행정원리의 하나로 有若無, 즉 있는 재산도 마치 없는 재산으로 여기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고전의 정부론을 토대로 역대 정권뿐 아니라 문민정부에 대한 평가도 시도하고 있다. 유신정권은 우익전체주의, 제 2 공화국과 與小野大 시대를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평가한다.

문민정부는 강경관료주의 체제로 분류하고 '문민독재'라는 혹독한 평가도 서슴지 않는다. 지은이 이문영 교수는 30여 년 간 행정학 연구에 헌신해 온 원로학자로 고려대 명예교수를 거쳐 현재 경기대 대학원장으 로 재직하고 있다.


논어(論語)

공자의 가르침을 담은 사서(四書)의 하나. 유교의 기본이되는 경서로서, 공자의 언행 및 제자나 당시 사람들과의문답을 중심으로 엮은 언행록이다. 공자가 세상을 떠난 뒤제자들이 모아 엮은 것으로 전한다. 내용은 ‘학이(學而)’,‘위정(爲政)’ 등 20편으로 이루어져, 각각 학문, 정치, 예,인 등의 주제별로 짧은 글이 실려 있다. <논어>는전한(前漢) 시대부터 유교 문헌으로 중요하게 여겨 온터이지만, 송대에 주희(朱熹)가 사서를 오경(五經)보다 중히다룬 이래 <논어>가 유교 경서 중 으뜸 가는 책이 되었다.우리 나라에도 예로부터 전해져 도덕 교양서로서 널리읽혀 왔으며, 오늘날 미국을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에도번역서, 연구서가 적지 않다.

맹자 (孟子)

기원전 372∼기원전 289 중국 전국 시대의 유학자. 이름은가(軻)이고, 자는 자여(子輿)이다.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의손자인 자사(子思)에게 배워서, 공자의 사상을 더욱 뚜렷하게체계화하였다. 인간의 도덕적 기준으로 ‘인의(仁義)’를중시하였고, 사람의 본성은 착하다는 ‘성선설’을도덕 성립의 바탕으로 삼았으며, 덕치주의와 왕도 정치를역설했다. 당시의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잡기 위하여 약15년 동안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의견을 폈으나,받아들여지지 않아 고향으로 돌아와 제자 양성에만 힘썼다.맹자의 언행을 적은 책이 <맹자>이며, 주요 유교 경전인사서 중의 하나로 되어 있다. 후세 사람들은 그를 공자에버금가는 성인이라 하여 아성(亞聖)이라 일컫는다.
일러두기

서문

제1장 이어짐 : 정년 후 첫 강의에서

제1부 사적 세계
제2장 시작에 대한 이해
제3장 사실과 가치
제4장 현상학적 접근
제5장 가장 귀중한 것

제2부 공적 세계
제6장 행정을 정의하는 세 범주 : 사람, 일, 방법
제7장 두 가지 행정
제8장 최악의 상태
제9장 최선의 상태

제3부 행정구도
제10장 조직
제11장 정책
제12장 재무 행정
제13장 인사 행정

제4부 문명 속의 행정
제14장 최소의 공존 요건
제15장 실패한 문명
제16장 궁극의 과제

참고문헌

부록Ⅰ 이 책의 章節別로 인용된 <論語>, <孟子>를 밝히는 索引
부록Ⅱ <論語>, <孟子>의 章節別로 이 책의 언급을 밝히는 索引
부록Ⅲ 원전에서의 등장인물 索引
부록Ⅳ 주제 索引
부록Ⅴ 인물 索引
부록Ⅵ 孔子·孟子의 年表
부록Ⅶ 春秋·戰國時代 지도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