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명대변혁의 시대,
사회구조 변화에 대한 진단과 처방
학계를 대표하는 전현직 대학 총장, 학회장, 연구소장, 대학원장, 학장 등 5명의 학자들이 문명대변혁의 시대를 다각도로 조망하고 다가올 미래에 대응하는 길을 제시한 《문명대변혁의 시대》가 출간되었다. 저자들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AI 혁명은 산업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식과 행동 등 삶의 전 분야와 사회 구조 전반에 동시적으로 커다란 변화를 불러오는 ‘4차 문명혁명’을 예고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사회학·정치학·역사학·과학 등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현 시대를 진단하고 독자들에게 우리 사회를 전망하는 종합적인 시야를 제공한다.
▎책 소개글
한림대 창립자 뜻을 기려 총서 출간
한림대 도헌학술원 일송기념사업회에서는 학교법인 일송학원(한림대) 창립자 故 일송一松 윤덕선 박사의 뜻을 기려 “한국 사회, 어디로 가야 하나”를 장기 주제로 하여, 이 주제에 걸맞은 연차 주제로 매년 ‘일송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함으로써 21세기 국제사회에서 한국적 삶의 가치를 재정립 하고자 한다. 이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글들을 일송학술총서로 발간하는데, 이 책은 제11회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발제 중 5편의 글을 모아 출간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연세대 총장을 역임한 김용학 교수(사회학), 제53대 한국정치학회 학회장을 맡고 있는 연세대 조화순 교수(정치외교학), 서울대 역사연구소 소장을 역임한 주경철 교수(서양사), 서울대 국제대학원 원장을 역임한 박태균 교수(한국사), KAIST 출신으로 현재 한림대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학장을 맡고 있는 고재현 교수(물리학) 등이다.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각자의 학문적인 관점에서 이 시대의 사회구조 변화를 진단하고 미래에 대응하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의 마음까지 해킹하는 AI의 시대
유발 하라리는 《사피엔스》 출간 10주년 특별판 서문 중 일부분을 챗GPT가 써 주었다고 고백했다. 그는 “충격으로 입을 다물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AI가 그 책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간파했을 뿐 아니라, 10주년 특별판 서문으로 가장 적절한 내용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김용학 총장은 유발 하라리의 사례를 소개하며, AI가 이미 음악·미술·디자인·동영상 제작·글쓰기·코딩·번역·과학실험 등 인간의 거의 모든 활동 영역에 스며들었으며, 어떤 영역에서는 인간보다 훨씬 더 우월한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특히, AI가 인간의 언어뿐만 아니라 마음까지도 ‘해킹’한 연구사례를 보여주며, 앞으로 20년 후에 인간이 마주할 AI는 구글 개발자가 AI에 관해 쓴 책의 제목처럼 ‘무서울 정도로 똑똑할(Scary Smart)’ 것이라고 두려움을 표한다. 이러한 AI 혁명은 산업혁명의 범주를 뛰어넘는 문명사적 변화라고 지적한다.
문명대전환의 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
조화순 교수는 문명대전환의 시대에 정치와 정치학이 시대의 변화를 담아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한다. 그는 AI를 필두로 한 변화가 민주주에 어떤 도전을 가져오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민주주의 관점에서 대안을 제시하고 대안을 논의하기 위한 정치학의 연구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함을 역설한다.
주경철 교수는 지금의 변화를 ‘단절’과 ‘변혁’보다는 ‘연결’과 ‘초가속’이라는 용어로 개념화할 것 을 제안하고, 위기에 맞닥뜨린 인간사회의 기본 작동 원리는 ‘기억’을 이용한 ‘상상’이라고 설명한다. 그러한 면에서 이 격변의 시대에 과학기술과 인문학, 특히 역사학의 상호 대화가 절실하며, 과학기술의 방향성에 대해 반성적 질문을 제기하는 역사학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박태균 교수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문명대전환기를 맞이한 한국역사학계가 나갈 방향을 제시한다. 한국사학계는 기후 위기와 팬데믹을 거치면서 인류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상황이다. 새로운 역사학으로 진화하기 위해서 세계사적 보편성 속에서 한국사의 특수성을 찾는 연구, 공공성의 연구, 문명대전환기에 조응하는 연구를 해야 하고, 윤리와 철학을 견지할 것을 당부한다.
고재현 교수는 인류 문명의 존속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21세기 과학의 키워드로 ‘기후 위기’와 ‘외계행성’을 선택한다. 기후 위기를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해 지금까지 인류가 펼친 활동과 연구들을 소개하는 한편, 급속히 발전하는 외계행성의 연구 성과가 기후 위기에 직면한 인류로 하여금 문명의 방향과 운명에 대해 근본적으로 고민하도록 이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
서문 5
1장 AI, 4차 산업혁명인가 문명혁명인가 김용학
1. 들어가며 15
2. 4차 문명혁명 19
3. 부머와 두머 사이 24
4. AI와 문명사적 변화 29
5. 나오며 49
2장 21세기 문명 전환과 미래를 위한 정치·정치학 조화순·함지현
1. 21세기 문명대전환, 정치와 정치학은 바뀌고 있는가 55
2. 21세기 문명, 무엇이 다른가 58
3. 21세기 문명변혁과 민주주의 65
4. 민주주의, 대안은 있는가 77
5. 정치의 위기와 정치학의 역할 84
3장 기억과 상상: 초가속 시대의 역사학의 새로운 가능성 주경철
1. 들어가며 93
2. 초가속과 위기 96
3. 산업혁명에 대한 성찰 104
3. 격변의 시대의 역사학 110
4. 미래를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117
4장 고르디우스의 매듭 풀기: 문명대전환기 한국역사학계의 과제 박태균
1. 들어가며 127
2. 21세기 초 한국사학계의 상황 130
3. 포스트 팬데믹, 한국사학계가 주목한 이슈들 139
4. 문명대전환기, 한국역사학계는 어디로 갈 것인가 148
5장 21세기 과학의 키워드: 기후 위기와 외계행성을 중심으로 고재현
1. 들어가며 159
2. 기후 위기 인식의 역사 및 기후 위기의 물리학 161
3. 기후 위기의 성격과 인류의 노력 173
4. 외계행성의 발견과 기후 위기의 시대 183
5. 나오며 190
지은이 소개 195
|
김용학
미국 시카고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연세대학교 제18대 총장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SK텔레콤 사외이사와 삼성생명 공익재단 이사로 재임중이다. 사회 연결망 분석과 사회 연결망 이론을 연구했다.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교육부 대학설립위원회, 교육부 BK기획위원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주요 연구서로는 《사회연결망 분석》(2016,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사회연결망 이론》(2010,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사회의 빛과 그늘》(2009), 《비교사회학》(2000) 등이 있다.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부편집장과, Sage에서 출간하는 Rationality and Society 국제편집위원을 역임했다.
조화순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이 추동하는 정치와 사회 변화, 기술정책과 미래 거버넌스, 데이터사회과학 등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디지털사회과학센터의 센터장을 맡고 있다. 정치학자 중 최초로 과학기술한림원의 정책학부 정회원으로도 활동 중이며, 제53대 한국정치학회 학회장이다. 주요 저서로는 《언박싱 코로나》(2023), 《데이터 시대의 사회과학》(2020), 《사회과학자가 보는 4차 산업혁명》(2018), 《빅데이터로 보는 한국정치 트렌드》(2016), 《소셜 네트워크와 정치변동》(2012) 등 다수가 있다.
함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며, 인공지능 등 기술과 정치 간 상호작용 및 정책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사이버 공간의 문화코드》(공저, 2015)가 있다.
주경철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서양사 전공 교수로 재임 중이다.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 중세르네상스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서양 근대사와 문화사 그리고 해양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바다 인류》(2022),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2017~2019), 《일요일의 역사가》(2024), 《물질문명과 자본주의》(번역서, 2024) 등 다수가 있다.
박태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하버드대 초빙교수, 게이오대와 규슈대 방문교수, 후단대와 산동대 겸무교수를 지냈으며, 서울대 국제대학원 원장, 서울대 〈대학신문〉 주간,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전쟁》(2005), 《우방과 제국: 한미관계의 두 신화》(2006), 《원형과 변용: 한국 경제개발계획의 기원》(2007), 《이슈한국사》(2015), 《베트남 전쟁》(2015), 《버치문서와 해방정국》(2021) 등 다수가 있다.
고재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림대학교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림대학교 특훈교수, 일본 University of Tsukuba JSPS Fellowship, 한국물리학회 〈새물리〉 편집위원장, 한국광학회 〈한국광학회지〉 편집위원장,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광원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림대학교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학장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빛의 핵심》(2020), 《물질의 재발견》(공저, 2023), 《역사를 바꾼 100책》(공저, 2023), 《양자역학 쫌 아는 10대》(2023), 《전자기 쫌 아는 10대》(2020), 《빛 쫌 아는 10대》(2019), 《십 대, 미래를 과학하라!》(공저, 2019) 등이 있다. 2004년 한림대학교 부임 후 약 270여 편의 학술논문과 세 편book chapter를 발표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