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비서실장 791일] 정해창 전 비서실장이 말하는 노태우 전 대통령 “군 출신이지만 사람을 넓게 쓰고, 각 분야 1인자들 등용”
매체명 : 월간조선   게재일 : 2023.11.07   조회수 : 94

윤 대통령,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괄목할 만한 성과홍보 업무에 보완할 점은 없는지 점검해보았으면

시대적 과제인 민주화를 꼭 이루어내겠다는 확고한 역사의식과 사명감참고, 용서하며, 기다리는 참용기보여줘

노 대통령, 이종찬 경선 거부 선언 후 서재에서 맥주 마시며 허탈해해

비서실장으로 일하는 동안에는 정해창은 없다고 마음먹어

 

정해창

1937년생. 서울대 법학과 졸업, 10회 고등고시 사법과·행정과 합격 / 법무부 검찰국장, 서울지검장, 법무부 차관, 법무연수원장, 대검찰청 차장검사, 법무부 장관, 형사정책연구원장, 대통령비서실장, 한국범죄예방재단 이사장, 다산학술문화재단 이사장 역임. ()보통사람들의시대 노태우센터 이사장 / 저서 대통령비서실장 791》 《형정의 길 50》 《대나무 그 푸른 향기

 

2년 전 1026, 경남 창원 출장 중에 노태우(盧泰愚) 전 대통령의 별세(別世) 소식을 접했다. 공교롭게도 그날은 노 전 대통령이 경호실 작전차장보로 모셨던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이 서거(逝去)한 날이었다. 그해 1123일에는 전두환(全斗煥)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났다. 197912·12사태의 주역으로 역사의 전면에 등장, 잇달아 대한민국 대통령직을 수행했던 두 전직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접하면서 한 시대가 저물었구나하는 생각을 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 2주기(周忌)를 앞두고 12개월 동안 그를 모셨던 정해창(丁海昌·86) 전 대통령비서실장이 대통령 비서실장 791(나남)을 펴냈다. 866쪽에 달하는 두꺼운 책이다.

 

정해창 전 실장은 한국범죄방지재단 이사장에서 물러난 후인 2015년 초부터 회고록 저술을 시작했다. 비서실장 재직 시절의 일들을 기록한 여덟 권의 업무일지가 바탕이 되었다. 73개월 후인 202231차 작업을 마쳤고, 금년 6월에 책을 펴냈다. 서장(序章)에 해당하는 제1장 외 제2~10장은 3개월 단위(마지막인 제10장은 2개월)로 나누어 당시 있었던 일들을 시간순으로 기록했다. 부제(副題)처럼 글자 그대로 정해창의 청와대 일지.

이 책을 읽는 내내 참 성실한 공무원이 자신이 당대에 경험한 일을 참 충실하게 기록했구나하는 생각을 했다. 노태우 정권에서 김영삼 정권으로 넘어가는 역사의 중요한 고비였는데도 정치적 비화() 같은 건 전혀 보이지 않았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하 노태우 대통령) 서거 2주기를 앞두고 서울 강남에 있는 우산흠흠재(牛山欽欽齋)에서 정해창 전 실장을 인터뷰했다.

 

참용기

 

노태우 대통령의 가장 큰 업적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노 대통령의 업적으로 흔히 북방 정책을 가장 많이 얘기합니다만, 그보다 권위주의 체제에서 민주화로 이행하는 과정을 아주 원만하게 잘 관리하여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는 점이 더 뜻깊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렇지요.

노 대통령은 6공화국 출범 후 여소야대(與小野大) 국회, 5공 청산 등의 어려운 정국(政局) 상황을 인내하면서 잘 관리했습니다. 헌정사상 처음으로 여당 내 대선 후보 경선(競選)을 통해 민주화의 상징 중 한 분인 김영삼(金泳三) 민주자유당 대표를 선출하고 정권을 이양했습니다. 또 중립 내각(현승종 내각)을 구성해 대선 과정을 잡음 없이 관리했습니다. 30년 만에 지방자치를 부활(지방의회 선거 실시)시킨 것도 빼놓을 수 없지요.”

 

12·12사태와 5공 출범의 주역이었던 군인 출신 노태우 대통령이 물태우라는 소리를 들으면서도 인내하면서 민주화의 길을 이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시대적 과제인 민주화를 꼭 이루어내겠다는 확고한 역사의식과 사명감 때문이었지요. 그리고 인자하고 합리적이며 신중하고 유연한 성품이 이를 뒷받침했다고 생각합니다. 노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6·29선언은 나의 통치철학이 되었고, 나라를 다스리는 기본 이념이 되었다고 술회했습니다. 이를 위해 노 대통령은 참고, 용서하며, 기다리는 참용기를 보여주었습니다. 자신을 버리는, 희생과 양보의 결단을 아끼지 않은 노 대통령의 모습에 고개를 숙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노 대통령, ‘초등학교 반장도 자유경선을 통해 뽑는 시대’”

 

노태우 대통령을 모시는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입니까.

글쎄요. 청와대라는 곳이 워낙 희비(喜悲)가 끊임없이 교차되는 순간을 겪어야 하는 곳인데다가, 30년이라는 세월이 흘러서. 19921월 연두(年頭) 기자회견 때의 일이 기억나네요. 다른 때와는 달리 김영삼 대표 등 민주자유당의 세 최고위원이 배석(陪席)했었죠. 노 대통령은 후임 대통령 후보는 국회의원 총선 후 자유경선을 통하여 선출할 것이라고 밝힌 후 국민학교 반장도 자유경선을 통해 뽑는 시대라면서 자유경선 이외의 방법은 민주화 시대에 맞지 않는다, 이런 민주화 시대에 지명이나 내정이라는 말은 당사자들에게 모욕이 될 정도로 용납될 수 없는 것이라고 하셨어요. 누구도 반론을 제기할 수 없는 말이었지요. 의전수석과 함께 대통령의 대()국민 설득력이 절정에 달했는데 임기 마지막 해가 된다는 이야기를 웃으면서 나누었습니다.”

 

다른 일은 또 없습니까.

한중 수교 후 1992928일 중국을 첫 국빈(國賓) 방문했을 때, 대한민국의 국가 원수(元首)로서는 처음으로 중국 인민해방군 의장대를 사열했습니다. 인민해방군의 경례를 받는 순간 가슴이 벅차올랐던 기억을 잊을 수 없습니다.”

 

홍보 문제 관련 질책 받아

 

회고록을 보면 노태우 대통령의 질책을 받았다는 얘기가 종종 나오던데, 주로 무슨 일 때문이었습니까.

홍보 문제와 관련해서였습니다. 노 대통령께서는 민주국가의 국정수행은 국민에게 제대로 전달되어 국민이 이해하고 협조, 참여함으로써 효과가 나고 마무리되는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계셨습니다. 이 때문에 국정수행 행위가 국민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 것을 늘 걱정하셨습니다. 요즘 말로 소통의 문제였죠. 그래서 비서실장 주관 홍보조정회의를 신설, 매주 회의를 여는 등 노력을 많이 했지만 노 대통령의 걱정을 덜어드리는 데는 매우 부족했다고 반성하고 있습니다.”

 

정해창 실장의 회고록에서 눈길을 끈 대목이 하나 있다. 정 실장이 취임한 직후인 1990년 봄 수서 사건 당시 장병조 청와대 체육비서관을 바로 면직(免職)한 이야기였다. 장 비서관은 노 대통령이 체육부 장관을 할 때부터 모셨던 측근이었다. 하지만 청와대는 바로 장 비서관을 면직시켰고, 장 비서관은 사법처리되었다. 권력층의 비리가 발생하면 총력(總力)을 다해서 덮고, 그걸로도 모자라 아예 권력층 수사를 막기 위해 검찰 권한을 박탈했던 근래 정권들의 행태와는 대조적이었다.

 

노 대통령의 측근인 장 비서관을 내보내는 결정을 하는 데 어려움은 없었습니까.

없었습니다. 청와대가 의혹을 받는 상황에서 해당 비서관을 면직함으로써 검찰 수사가 엄정하게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는 데 대해 이견이 없었습니다. 대통령께서도 받아들이셨고요.”

 

임기 말 마무리 위해 실장 맡긴 듯

 

노태우 대통령 시절에는 실장님을 비롯해 서동권(徐東權) 국가안전기획부장, 정구영(鄭銶永) 민정수석비서관 등 검찰 출신들이 중용된 것 같은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정부의 국정 집행이 법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나라나 민주주의·법치주의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법률가의 참여가 불가피하다고 생각합니다. 민정수석의 경우, 그 이전 역대 정권에서도 검찰 출신이 맡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안기부장도 박정희 대통령 시절 신직수(申稙秀) 전 법무부 장관, 노태우 정권 초기 배명인(裵命仁) 전 법무부 장관이 기용된 적이 있습니다. 다만 비서실장에 검찰 출신이 기용된 것은 제가 처음이었던 것 같네요.”

 

혹시 노태우 대통령과 어떤 인연이 있었나요.

노 대통령이 고등학교 5년 선배이긴 하지만, 학교를 다닐 때에는 알 기회가 전혀 없었습니다. 그분이 내무부 장관일 때 법무부 차관으로서 공식적인 인사를 하러 가서 뵌 적이 있고, 5공 말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6공 초에 유임되면서 10개월간 모신 적이 있을 뿐이었습니다.”

 

혹시 그때에 실장님의 이런 면을 보고 실장 자리를 맡겼구나 싶은 대목이 없습니까.

그런 건 짐작 가는 바 없고, 말씀을 들은 바도 없습니다. 다만 제게 비서실장을 맡기신 것은 임기 말 마무리와 관련이 있는 게 아닌가 짐작할 뿐입니다. 아무래도 마무리나 정리는 새로운 일을 벌이는 것과는 달리 법률가의 적성에 맞는 분야 아니겠습니까. 당시 서동권 안기부장과 팀워크가 잘될 수 있는 관계라는 것도 고려하시지 않았나 싶어요.”

 

비서실장직을 수행하는 동안 어떤 마음가짐으로 일했습니까.

첫째, 비서실장으로 일하는 동안에는 정해창은 없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이름 석 자를 지우고 일해야겠다, ‘비서()’라는 두 글자는 눈에 띄지 않도록 주인을 보좌한다는 뜻을 함축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언론에 노출되는 일도 가급적 자제하기로 결심했습니다. 둘째, 제 능력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협업(協業)한다는 생각으로 일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셋째, ‘청와대에 가더니 사람이 변했다는 소리를 듣지 않도록 처신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노 대통령, 장관들에게 재량권 많이 줘

 

당시 청와대 비서실 진용을 보면 손주환 정무수석, 김종인 경제수석, 김종휘 외교안보수석, 노건일 행정수석, 이상연 민정수석, 이수정 공보수석, 김학준 정책조사보좌관 등 쟁쟁한 분들이 많았더군요.

노 대통령은 군() 출신이지만 사람을 넓게 썼습니다. 각 분야의 1인자들을 썼고, 그분들 중에는 나중에 장관 등을 지낸 분들이 많았습니다. 노태우 정부의 첫 국무총리였던 이현재(李賢宰) 총리부터가 참 존경받는 분이었지요.”

 

노 대통령은 각부 장관들에게 재량권(裁量權)을 많이 주는 편이었습니까.

그렇습니다. 제가 법무부 장관으로 모실 때에도, 형사정책연구원 설립 등 법무부 숙원 사업을 보고했더니 그대로 하라고 하셨어요.”

 

검찰 인사는 어땠습니까.

원래부터 법무부와 검찰 인사는 같이 하는 것이었지만, 장관과 검찰총장이 의논해서 결정하면 그대로 받아주셨습니다.”

 

실장으로 있을 때 청와대 비서실이 각 부처 인사에 개입하는 일은 없었습니까.

간여할 형편이 아니었습니다. 그것 말고도 일이 많은데. 비서실에 파견 나왔던 비서관들이 원래 부서로 돌아갈 때 좀 신경을 써주는 일은 있었지요.”

 

더 이상 출신 대통령 안 된다는 신념 강해

 

회고록을 보면 민주자유당 대선 후보 경선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건들에 대해서는 기록에 없다’ ‘기억에 없다고 했더군요.

저는 정치적인 일을 한 사람이 아닙니다. 정치적 감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런 일은 정무수석비서관이 담당했습니다. 노 대통령이 팀워크를 중시하는 분이기도 해서 정무수석을 보완하기 위해 관련 수석비서관들과 회의를 많이 한 후 의견을 모아 허심탄회하게 결론을 대통령께 보고 드리곤 했습니다.”

 

당시 노태우 대통령이 가장 신경 쓴 일은 무엇이었습니까? 민자당 경선이었나요, 아니면 전두환 전 대통령과의 화해 문제였나요.

둘 다 쉽지 않은 일이었습니다. 아시다시피 YS는 오매불망(寤寐不忘) 대통령이 되는 데 뜻을 두고 있었고, 모든 일의 초점이 거기에 맞춰져 있었어요. 때문에 거북한 경우도 많았는데, 손주환 정무수석과 서동권 안기부장이 물밑 조정을 하느라 고생이 많았지요. 전두환 전 대통령과의 화해 문제는 결국 재임 중에는 해결하지 못하고 한참 후에야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죠.”

 

회고록을 보면 전두환 전 대통령 측에서는 노 대통령이 연희동으로 오라는 것이었고, 노 대통령은 그럴 수 없다는 것이었던 것 같은데, 노 대통령이 퇴임 직전에 결단을 내릴 수는 없었을까요.

권력이라는 게.”

 

일각에서는 민자당 경선 과정에서 박태준 최고위원을 주저앉히기 위해 노 대통령이 무척 애를 썼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자유경선을 한다고 하니, 주위 사람들 중에서 박태준 최고위원에게 출마를 권하는 이들이 있었지요. 하지만 노 대통령은 그럴 경우 경선이 원만하게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고, 무엇보다도 더 이상 군 출신 대통령이 나와서는 안 된다는 강한 신념을 갖고 있었습니다.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결국 민정계 중진 8인 회담에서 이종찬 의원으로 단일화되자 노 대통령은 크게 안도했습니다. 그런데 결국 이종찬 의원이 막판에 경선 거부를 하자 노 대통령은 무척 허탈해하셨습니다. 대통령께서 서재에서 기다리신다는 전갈을 받고 들어갔더니 맥주를 청하여 마시면서 여러 가지 불쾌감을 표하시더군요. 서재에서 맥주를 청하는 일은 전에 없던 일이었습니다. 제가 말주변이 없어서 뭐라고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몰라서 안절부절했습니다.”

 

·, 정치자금에 비서실 개입시키지 않아

 

국민들이 잘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꼭 기억해줬으면 하는 노 대통령의 업적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으로 용산가족공원을 들 수 있습니다. 1882년 임오군란 당시 청군(淸軍)이 주둔한 이래 일본군, 미군이 주둔해오던 곳인데, 노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이 땅을 환수하기 위한 한미 간의 협의를 시작했습니다. 결국 19906월에 기본합의서를 채택하고, 이듬해 7월 이를 공표했습니다. 임기 중에 미군기지 평택 이전이 완료되지는 못했지만, 임기 마지막 무렵인 199212월에 미군 골프장은 용산가족공원으로 탈바꿈,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19901월 문화부를 출범시키고 이어령(李御寧) 교수를 초대 장관으로 임명, 문화계에 새바람을 불게 한 것도 기억할 만한 일입니다. 이어령 장관 시절에 국립국어연구원 설립, 국립한국예술종합학교 설립, 파주출판문화단지 사업 착수 등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같은 일련의 조치들이 오늘날 문화 한국의 토대가 되었다고 믿고 있습니다.”

 

노태우 대통령이 낮은 평가를 받은 이유 중 하나는 돈 문제 때문이었습니다. 박정희 정권 시절에는 청와대 비서실장이 정치자금 조성·관리를 했는데, 실례지만 실장님은 간여하지 않았습니까.

전두환·노태우 대통령 시절에는 비서실은 개입시키지 않았습니다. 결국 그분들이 혼자서 책임을 떠맡은 것이지요. 그 과정에서 경호실이 뒷바라지를 하기는 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 홍보 분야 점검했으면

 

비서실장으로 노태우 대통령을 모셨던 입장에서 검찰 후배인 윤석열(尹錫悅) 대통령을 평가한다면?

그거 참. 30년 전의 잣대로 현재의 상황을 용훼(容喙)한다는 건 매우 주저되는 일입니다. 게다가 제가 현실에 대한 정보도 어두워서. 어설픈 생각으로 실례를 무릅쓰고 말한다면 윤 대통령은 정치 경험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국정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짧은 시간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고 봅니다.”

 

아쉬운 점은 없습니까.

한 가지 말한다면, 비서실장 시절 홍보와 관련해서 질책을 많이 받았던 입장에서 볼 때, 혹시 홍보 업무에 보완할 점은 없는지 점검해보았으면 합니다. 국민의 참여와 협조, 마음을 얻어야 하는 민주국가의 정치에서 홍보와 소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직 대통령 예우 못 받아 아쉬워


노태우 전 대통령 서거 직후인 20211026~28일 한국갤럽이 전국 성인 1000명에게 전직 대통령(박정희~노무현) 공과를 물은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에 의하면 노 전 대통령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잘한 일이 많다는 응답은 21%에 불과했다. 그보다 낮은 평가를 받은 이는 전두환 전 대통령으로 16%였다. 긍정 평가가 가장 높은 대통령은 김대중 전 대통령으로 62%, 그다음으로 박정희·노무현 전 대통령이 61%, 김영삼 전 대통령은 41%로 나타났다. ‘잘못한 일이 많다는 부정 평가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73%로 가장 높았고 노태우 전 대통령은 52%를 기록했다.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수감 중이라는 이유로 제외됐다.

 

노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업적에 비해 낮은데, 노태우 대통령은 후일 어떻게 평가받을 거라고 생각합니까.

사실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임기와도 관련이 있어요. 18년간 재임한 박정희 대통령, 12년간 재임한 이승만 대통령과 6공 이후 5년 단임 대통령들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잖아요? 하지만 이제 6공 이후 대통령도 8명이나 나왔으니, 이분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해볼 수는 있지 않겠습니까. 그렇게 되면 노 대통령은 꽤 괜찮은 평가를 받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씀이 있는지요.

노태우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예우를 받지 못하고 있어서 유가족들이 기념사업을 하려 해도 어려움이 있습니다. 추징금도 모두 납부했고, 법적으로 사면·복권을 받았으니, 정부에서 조치만 취하면 될 텐데, 아쉽습니다.”

 

 

 

대통령 비서실장 791일.jpg

기사 원문보기

첨부파일 대통령 비서실장 791일.jpg
이전글 [대통령 비서실장 791일] 대법원장 인준 부결 보고받은 노태우 “민주주의 참 힘들구먼”
다음글 [나의 비밀] 르네상스 문을 연 페트라르카 ‘창작의 비밀’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