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지금 고조선 문명인가

신용하 외 5인 지음

판매가(적립금) 35,000 (1,750원)
분류 나남신서 1992
판형 신국판
면수 456
발행일 2019-04-25
ISBN 978-89-300-8992-0
수량
총 도서 금액     35,000

고조선문명, 인류 고대사의 새로운 화두

동아시아 문명의 뿌리로서 고조선문명을 재발견하다

 

세계 4대 내지 7대 문명 중심의 인류 고대사를 뒤흔드는 ‘고조선문명’.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를 필두로 하여 이런 고조선문명론을 펼치는 한국문명연구학회는 다양한 각도에서 고조선문명의 실상을 파헤치며 인류 고대사에서 잊힌 고조선문명을 되찾고자 한다. 각자의 접근법으로 고조선문명을 연구해 온 여섯 명의 역사학자들은 한반도, 그리고 1990년대부터 출토되기 시작한 중국 랴오허강(遼河) 유역의 사료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동북아시아 고대사, 나아가 인류 고대사를 올바르게 정립하고자 한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고조선문명의 학제적 연구’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 한국문명연구학회는 그 결과물로 ‘고조선문명 총서’(지식산업사, 2018)를 출간하였지만, 그 분량과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비전공자가 쉽게 다가갈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런 요청에 응하여 총서 여섯 권을 간추려 한 권으로 엮어 펴낸 책이 바로《왜 지금 고조선문명인가》이다. 이 책을 시작으로 한국문명연구학회는 한반도 고대사의 참모습을 일반 독자들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풀어 쓴 ‘한국문명연구학회 총서’를 계속해 발간하고자 한다. 독자들은 기존의 교과서적인 고대사 서술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한반도의 숨겨진 역사, 우리가 두 발을 딛고 서 있는 이 땅의 반만년 전 모습을 새로이 탐구하는 이 책을 통해 필자가 던지는 질문, ‘왜 지금 고조선문명인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1장에서 신용하 교수는 한반도의 고대 문화가 문명으로서의 위상을 갖는 근거를 제시하며 고조선문명의 개념을 설명한다. 2장에서 임재해 안동대 명예교수는 한반도에 이어져 내려온 신시문화의 연속성을 밝힌다. 3장에서 우실하 한국항공대 교수는 최근 발굴된 요하문명이 한반도의 문화와 가진 연관성에 주목하여 동북아시아 고대사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4장에서 윤명철 동국대 교수는 터 이론과 더불어 해양과 육지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해륙문명의 개념으로 고조선문명과 그 문명권을 재구성한다. 5장에서 백종오 한국교통대 교수는 요하문명의 유적ㆍ유물을 시대별로 검토하여 고조선문명의 흐름과 권역, 그리고 그 주체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 박선희 상명대 명예교수는 복식 유물을 토대로 중국 홍산문화와 한반도 문화의 연관성을 검토하여 고조선문명의 권역을 설명한다.

 

머리말: 《왜 지금 고조선문명인가?》를 펴내며 5

 

1장 고조선문명의 개념과 인류문명사에서의 위치 | 신용하 11

―고조선문명의 사회사적 고찰

1. 지구의 최후빙기와 구석기 인류 동방행렬의 종착지 고(古)한반도 13

2. 인류 최초 문명 탄생의 조건 21

3. 인류 최초 독립 문명과 잃어버린 고조선문명 24

4. 고조선문명의 개념과 특징 1 26

5. 고조선문명의 개념과 특징 2 42

6. 인류문명사에서 고조선문명의 지위와 위상 46

7. 고조선문명이 고중국문명의 탄생에 미친 영향 47

8. 맺음말 50

 

2장 신시문화의 정체와 고조선문명의 미래 | 임재해 55

1. 신시문화의 지속성과 역사적 존재감 57

2. 건국 본풀이의 형성과 역사 서술의 인식 62

3. 태양시조 사상과 홍익인간 이념의 합일 67

4. 신시문화의 바탕을 이룬 신석기인의 생활 73

5. 재세이화의 통치체제와 이상적인 공동체 79

6. 민족문화 유전자의 역사적 지속과 변화 88

7. 현재진행의 신시문화 정체성과 역사인식 97

8. 신시문화에 입각한 현실 인식과 미래 전망 102

9. 고조선문명의 역사철학과 미래 문화 구상 107

10. 고대문명 연구의 한계와 문명론의 진전 110

11. 문화론과 변별되는 문명론의 새 범주 구상 113

12. 고조선문명의 유산과 인류문명의 재인식 117

 

3장 요하문명의 발견과 한반도 | 우실하 121

―요하문명 도사 유지의 발견과 단군조선의 가능성

1. 글을 시작하며 123

2. 요하문명에 대한 간략한 소개 128

3. 요하문명과 한반도와의 관련성 141

4. 요임금의 도성 평양으로 밝혀진 도사 유지와 단군조선 170

5. 요하문명과 한국 학계의 과제 180

6.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188

 

4장 고조선문명권의 흥망과 해륙활동 | 윤명철 193

1. 머리말 195

2. 문명권 설정의 이론과 모델 검토 199

3. 고조선문명권의 자연환경 210

4. 고조선문명권의 인문환경 233

5. 고조선문명권의 생성과 국가 발전 259

6. 고조선의 해양 정책: 도시와 경제 273

7. 고조선문명권의 해양활동과 해륙교통망 290

8. 고조선문명권의 붕괴 과정과 의미 303

9. 맺음말 312

 

5장 고조선문명의 고고학적 접근 | 백종오 319

1. 머리말 321

2. 요하 유역의 청동기시대 유적 324

3. 요하 유역 청동기문화와 묘제의 특징 및 편년 326

4. 요하 유역의 청동기시대와 고조선문화의 검토 330

5. 맺음말 366

 

6장 복식과 제의문화로 본 홍산문화와 고조선문명 | 박선희 373

1. 복식과 제의에서 찾는 고조선문명의 정의와 범위 375

2. 복식과 예술로 본 홍산문화와 고조선 제의문화 394

3. 고조선 복식과 제의문화권의 열국시대로의 계승 441

 

찾아보기 448

저자 소개 453

 

신용하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와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를 정년퇴임한 후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울산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및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있다. 대표 저서로 《독립협회연구》, 《한국독립운동사 연구》, 《3ㆍ1운동과 독립운동의 사회사》, 《한국근대민족운동사 연구》, 《신간회의 독립운동》, 《한국근대사회사연구》, 《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 《고조선 국가형성의 사회사》, 《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 연구》, 《고조선문명의 사회사》 등 58권이 있다.

 

임재해

영남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로 있는 동안 민속학연구소장, 박물관장, 인문대학장을 역임하고 실천민속학회장, 한국구비문학회장, 비교민속학회장, 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장 등의 학회 활동을 했다. 현재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명예교수, 남북역사문화교류협회 공동대표,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 이사로 있다. 저서로는 《민속문화를 읽는 열쇠말》, 《신라 금관의 기원을 밝힌다》, 《마을문화의 인문학적 가치》, 《고조선문화의 높이와 깊이》, 《고조선문명과 신시문화》 등 33권이 있다.

 

우실하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항공대학교 인문자연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양사회사상,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및 사상사 분야에서 한국문화와 사상의 원류를 밝히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중국 요녕대학(遼寧大學) 한국학과 교수와 내몽고 적봉대학(赤峰學院) 홍산문화연구원(紅山文化硏究院) 방문교수를 지냈다. 동양사회사상학회 부회장, 단군학회 부회장, 중국 내몽고홍산문화학회 회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요하문명과 한반도》, 《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3수 분화의 세계관》, 《동북공정 너머 요하문명론》 등 10권의 단독 저서와 《동양사상의 시대 진단과 비전》, 《동몽골의 가치와 미래》 등 20권의 공저를 출간한 바 있다.

 

윤명철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민족학회 회장과 고조선 단군학회회장을 거쳐 현재는 동국대학교 다르마 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해양정책학회 부회장, 유라시아 해양연구소장, 〈지구문학〉 편집위원 등을 맡고 있다. 해양문화 창달에 기여한 공로로 대한민국 근정포장을 받은 바 있으며 제7회 지구문학상, 제1회 김찬삼여행상, 연암문학예술상 시 부문 대상 등을 수상했으며, 〈동아일보〉 ‘2020년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됐다. 저서로 《한민족의 해양활동과 동아지중해》, 《윤명철 해양논문선집》(총 8권), 《해양사연구 방법론》 등 60여 권이 있으며, 주요 역사사상을 다룬 14권의 시집을 출간한 바 있다.

 

백종오

단국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기도박물관 학예연구사, 경기도ㆍ인천시ㆍ충청북도 문화재위원, 일본 교토대학 방문교수, 남북학술교류협회 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양학부 한국사 전공 교수 겸 박물관장으로 있다. 그리고 백산학회 부회장, 한국고대학회 편집위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서울시 문화재위원,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된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과 《고구려 남진정책 연구》, 《남녘의 고구려 문화유산》, 《요하유역의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고구려와 중원문화》(공저), 《발해 유적 사전》(공저),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Koguryo Kingdom(공저) 등이 있다.

 

박선희

단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국립대만사범대학(國立臺灣師範大學)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학하다가 귀국하여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상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사회과학부 학부장, 교육개발센터 소장, 인문사회과학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대한민국학술원 기초학문분야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된 《한국고대복식: 그 원형과 정체》와 《우리 금관의 역사를 밝힌다》, 《고조선 복식문화의 발견》, 《고구려금관의 정치사》, 《고조선의 강역을 밝힌다》(공저), 《고대에도 한류가 있었다》(공저), 《신라인의 생활과 문화》(공저), 《동아시아의 지역과 인간》(공저) 등이 있다.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