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나무 아래의 즉흥] 억압을 푸르게 물리칠 시간
매체명 : 한겨레   게재일 : 2018.08.23   조회수 : 288

김승희, ‘솟구쳐 오르기 1’
<흰 나무 아래의 즉흥>(나남, 2014)

 

 

바위라고 해서 물로 구멍을 뚫을 수 없는 건 아니다. 한두 방울의 물이라면 바위 사이사이에 나 있는 조그만 틈에 고이는 정도겠지만, 그 물방울들이 오랜 시간을 거쳐 물줄기를 이룬다면 바위는 틀림없이 처음과는 다른 생김새가 될 것이다. 깎여나가고, 바뀔 것이다. 이는 그 어떤 권세를 누리고픈 자가 무시하고자 해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당연한 질서이다.

서울 도심의 한복판을 가득 채워 안희정 전 지사에 대한 법원의 1심 판결에 반발하고, ‘여성에겐 국가가 없다’고 외치며 국가는 여성에게 공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던 절박한 목소리들이 언젠가는 앞서 언급한 ‘당연한’ 사실을 역사의 현장에서 이룰 것이라 믿는다. 그 목소리들을 떠올리며 오늘의 시를 읽는다. 같은 구절이 나란히 서 있는 이 시의 원래 형태를 상상하며 읽다보면 글자들이 마치 물줄기처럼 벼랑 위에서도 겁내지 않고 기꺼이 점프를 하는 듯 느껴진다.

 

 “억압을 뚫지 않으면

억압을

억압을

억압을


악업이 되어

악업이

악업이

악업이

 

두려우리라

 

절벽 모서리에 뜀틀을 짓고

절벽의 모서리에 뜀틀을 짓고

내 옆구리를 찌른 창을 장대로 삼아

하늘 높이

장대높이뛰기를 해보았으면

 

눈썹이 푸른 하늘에 닿을 때까지

푸른 하늘에 속눈썹이 젖을 때까지

 

아, 삶이란 그런 장대높이뛰기의 날개를

원하는 것이 아닐까,

상처의 그물을 피할 수도 없지만

상처의 그물 아래 갇혀 살 수도 없어

 

내 옆구리를 찌른 창을 장대로 삼아

장대높이뛰기를 해보았으면

억압을 악업을

그렇게 솟아올라

아, 한 번 푸르게 물리칠 수 있다면”

(김승희, ‘솟구쳐 오르기 1’ 전문)

 

 

 

시는 억압의 창이 옆구리를 찌를 때 그것을 그대로 두면 상처가 썩어나갈 뿐이라는 말을 하려는 것 같다. 반복되는 억압은 더 큰 악업을 불러올 뿐이라고. 그러니 이를 “푸르게 물리”치고자 하는 시의 바람은 고통과 긴장의 시간을 뚫고 뛰어오를 도약의 순간을, 또는 바위의 모양새조차 바꿔낼 언젠가를, 끈질기게 추구할 줄 아는 시인의 심지에서 발아한 것이겠다.

 

 

흰 나무 아래의 즉흥_앞표지.JPG

 

기사 원문보기

 

 

 

첨부파일 흰 나무 아래의 즉흥_앞표지.JPG
이전글 [유엔과 인권규범의 형성] 유엔은 각국 정부와 시민단체가 인권을 논의하는 場
다음글 [한국의 자주적 근대화에 관한 성찰] 자발적·식민지 근대화론? 편협함 극복하고 통합을
prev next